새벽 한 시의 산정은 바람이 점령했다.
잠은 달아난 지 오래고 텐트를 날려버리겠다고 호령하는 바람소리에 공포마저 느껴진다.
아늑하게 자고 싶어 텐트 위에 타프를 쳤더니 바람이 얼마나 펄럭대는지 다른 날보다 유난히 시끄럽다.
지금이라도 일어나 타프를 걷을까 싶다가 야심한 시각에 부스럭대는 게 망설여져 웅크리고 있다.
오늘 정상에는 이외로 야영하는 사람들이 몇 없다.
산 정상까지 차로 오를 수 있고, 넓은 데크에다 식수와 화장실까지 겸비한 곳이라 우리 자리가 있을까 염려했었다.
늦게 가면 텐트 칠 자리가 없을까봐 해가 기울기도 전에 부랴부랴 올라왔더니 데크에는 1인용 텐트 한 동만 오두마니 앉아있었다.
두꺼운 잠바를 입고 바람과 맞서 텐트를 치고 나니 5월 초이틀 달이 매직아워의 푸른 하늘에 실눈썹처럼 걸려있다. 싸늘한 눈초리다.
깊은 잠에 빠진 친구를 깨우지 않으려고 잠든 척 누웠다가 침낭을 둘러쓰고 핸드폰 메모장에 글을 쓰기 시작한다.
글 쓰는 것만큼 시간이 잘 가는 것도 없으니까.
사실 모든 여행은 오기 전에 검색하고 지도 보고 준비하는 과정이 삼분의 일쯤 된다.
나머지는 직접 몸으로 느끼고 후기로 남겨두는 것이라고나 할까.
사진이든 글이든 기록으로 남겨 반추하는 일은 두고두고 즐겁다. 그 즐거움은 때로 일행이나 시간에 비례하기도 한다.
옆 침낭의 친구는 며칠 후 지리산 종주를 떠난다. 열다섯번 째의 지리산 종주다.
10KG이 넘는 배낭을 지고 노고단에서 천왕봉까지 25KM를 걷는다니 우리 나이에 무리 아닌가 싶어 걱정이다.
한때 산행 파트너로 산을 펄펄 날아다녔지만 한 사람은 1대간 9정맥을 마친 산꾼으로, 한 사람은 낮은 산도 겁을 내는 겁보가 되어 있다.
오늘 야영은 나를 위한 그녀의 배려다. 무릎 수술 이후 등산을 함께 못한 지도 몇 년이던가.
장거리 산행이나 야영을 다녀오면 그녀는 내게 보고서 쓰듯 자랑을 하곤 했다.
공감할 수 없는 사람은 결코 들어줄 수도 없는 이야기에 나는 늘 부러운 찬사를 보내곤 했다. 그러다 마침내 둘만의 야영이 이루어졌다.
하동 금오산(875M),
산 꼭데기까지 차로 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조망이 탁월하다는 점에서, 주변 볼거리가 많다는 점에서 낙점을 받았다.
그러나 볼거리는 양념이었고 둘이 산정에서 밤을 보낸다는 게 마냥 가슴 설렜다.
북천역의 화려한 양귀비밭도, 고소산성에서 바라보던 평사리 넓은 들판과 섬진강의 은모래도,
벚나무 가로수가 터널을 이루던 칠불사까지의 드라이브길도 전주곡에 불과했다.
산 아래는 때 이른 폭염이 기승인데 산정은 서늘하다 못해 차가운 공기, 거기 이제 막 피어난 찔레꽃이 주위를 하얗게 밝혀주고 있었다.
아무도 관리하지 않아도 제멋대로 가지를 뻗고 꽃을 피운 찔레꽃은 텐트속에서도 향기가 느껴진다.
발 아래 다도해의 아기자기한 섬들, 새끼 손톱만큼 작은 집들과 모내기가 시작된 무논과 먼 산그리메.
그 풍경 속에서 오래 사귄 친구와 하룻밤을 같이 잔다는 건 축복 아닌가. 그저 함께 있다는 사실 하나 만으로 위안이 되는 친구라서 더욱.
문득 밝은 기운이 느껴져 눈을 뜨니 다도해 저 멀리 해가 떠오르고 있다.
눈부신 아우라를 거느린 태양이 만물을 압도하는 모습은 볼 때마다 감동이다. 해를 보러 나온 사람들마다 환희에 찬 얼굴이다.
세상살이 번뇌에 지친 사람들도 이 아침 떠오르는 해를 보면 살아갈 힘이 생기리라. 희망이 솟으리라.
데크 안쪽에 맨 먼저 텐트를 친 사람은 일출 사진을 찍기 위해 혼자 올라왔다고 한다.
럭셔리 텐트로 별장같은 분위기를 꾸민 50대 부부는 주말마다 둘만의 야영을 즐긴다고 한다.
아이를 거느리고 온 부부는 일찌감치 아이들에게 대자연의 신비와 아웃도어의 즐거움을 가르쳐주고 싶어 데려왔단다.
세상 살아가는 모습이 다 다르듯 산정에 올라온 이유도 모두 다르다.
나와 다른 이유로 야영을 왔다고 해서 이상한 눈으로 보는 사람도 없고 장비가 호화롭다고 부러워하는 사람도 없다.
산 위에서 잠시 만나고 헤어지는 인연이지만 오래 기억에 남는다. 저자거리에서 스치고 지나간 사람들과는 정서가 다르기 때문일까.
아침을 지어 먹고 배낭을 꾸려 자리를 떠나는데 50대 초반의 여인이 큰 소리로 파이팅을 외친다.
“왕언니들, 짱이에요!”
그러고 보니 7동의 텐트 중 우리가 제일 나이 든 축에 속했던가 보다. 벌써 우리가 나이대접을 받을 때가 됐나?
순간 부끄러웠다가 이내 자랑스럽다. 집에서 손주들 볼 나이에 3시간을 달려와 산정의 밤을 보내고 가볍게 내려간다.
젊은(?) 사람들의 환송을 받으면서. 아, 이 아니 즐거운가!
친구여. 나 죽으면 화장하여 어느 산정에서 뼛가루를 뿌려다오. 번거로운 장례 절차도 필요 없고, 조문객도 가족들이면 충분하다.
내 혼백은 바람에 날려 지구를 떠나 무시무종의 우주로 사라지리라.
아니온 듯 다녀가고 싶었지만 남아있는 것들이 너무 많아 미안한 마음은 어쩔 수 없겠네.
언제라도 부르면 가야할 우리 목숨,
누가 먼저 불려갈지 모르는 일. 내가 그대에게 그대가 나에게 미리 유언 하나 남겨놓은 것도 좋은 일 아닐까.
이 외롭고 높고 쓸쓸한 산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