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백 살 먹은 느티나무를 보러 갔다. 주황빛으로 곱게 늙어가는 느티나무가 정겹고도 푸근해 연신 카메라의 셔터를 눌렀다.

이 풍경에 사람이 들어가면 금상첨화겠다 싶어 주위를 둘러봤지만 조용한 어촌에 인기척이라곤 없다.

느티나무 앞에 한참이나 서서 그를 우러러본다. 연두빛 무성한 나뭇잎을 달고 나왔다 노을빛으로 곱게 물들어가는 느티의 생애가 존귀하게 느껴진다.

오백 년 세월을 사진 한 장에 담아보려고 로우 앵글, 하이 앵글, 주밍, 다양하게 사진을 찍는다.

한 시간 넘게 느티나무를 찍었지만 아무래도 아쉽다. 늦가을 곱게 물든 나무 한 그루로 무슨 얘길 전할 수 있을까.

 

개 한 마리 지나가지 않는 길에 느티나무를 바라보고 우두커니 섰다가 멀리 큰길에서 걸어오는 두 사람을 보았다.

낚시가방을 든 할아버지와 등 굽은 할머니. 한 눈에 부부로 보이는 두 사람의 이미지가 느티나무와 너무나 닮았다.

버스 정류장을 향해 걸어오는 노부부에게 다가가 느티나무 아래 모델이 되어달라고 부탁했다.

나무 아래 잠깐 서 계시기만 하면 된다고, 촬영이 끝나면 집에 모셔다 드리겠다고 말했다.

노부부는 잠시 겸연쩍어 하더니 이내 나무 아래 다정히 걸어가셨고, 고목 사진의 화룡점정 역할을 해주셨다.

위풍당당한 나무 아래 조그맣게 걸어가는 두 사람은 나무를 더욱 돋보이게 하면서 사람이 자연 앞에 얼마나 작은 존재인가를 느끼게 했다.

역시 풍경을 완성하는 건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노부부를 뒷자리에 태우고 가시는 곳을 물었더니 20분 거리의 오피스텔이란다.

여유 있는 사람들의 별장으로 이름난 K오피스텔이 두 분의 세컨하우스.

본가는 언양에 있는데 할아버지가 바다를 좋아해 해변에 세컨하우스를 마련해놓고 수시로 드나든다는 것이다.

초라한 행색으로 버스를 기다리던 노인들이 오피스텔 주인이라는 사실에 속으로 놀랐다.

노인들의 옷에서 비릿한 생선냄새와 지린내 비슷한 것이 풍겨 얼른 내려드리고 가야지 생각했는데.

두 사람은 기어이 나를 붙들고 차 한 잔 마시고 가라신다. 어려워하지 말고 집에 가서 얘기나 나누잔다.

그동안 심심하셨던 게다. 많이 외로우셨던 게다.

대화 상대가 없는 노인들이 119로 전화를 걸어 미주알 고주알 온갖 얘길 다한다는 일화가 생각났다.

 

“내 나이가 팔십이여. 고향 친구들은 다 죽고 몇 안 남았재. 아침에 일어나면 할 일이 없어. 찾아갈 친구도 없고.

그래 할 수 없이 할멈 데리고 바닷가에 와 낚시나 하면서 소일하재. 버스타고 왔다 갔다 하면서 시간도 죽이고.”

운전할 줄 몰라서 버스를 갈아타고 바닷가로 오는데 한 달에 절반은 오피스텔에서 자고 간단다.

하루는 시골에서, 또 하루는 해변에서, 버스로 두 시간 가까운 거리를 나란히 앉아 오면서

세상 구경도 하고 사람 냄새도 맡고 그렇게 세월을 보낸다고 하셨다.

 

원룸식으로 설계된 그들의 집은 탁 트인 동해를 향해 침대가 놓여있었다.

달 밝은 밤이면 창 가득 달을 들여놓고 나란히 누워 달을 본다는 노부부는 아들 넷을 모두 분가시키고 여생을 신혼처럼 사시는 듯했다.

하지만 마음만 신혼이지 몸은 낡아 지루한 천국을 누리고 계신 것 같다. 오래 사는 게 과연 축복이기만 할까.

“농사 지어 자식들 대학 공부시킨다고 우리는 진이 빠졌는데.... 다 늙어서 돈 많으면 뭐하노?

애비가 돈 있는 줄 아니까 자식들이 걸핏하면 손 내밀고, 다 부질없는 일이여.”

쓸쓸하게 내뱉는 노인의 말에 안쓰러운 생각이 스며들었다.

 

(진작에 운전을 배우시지 그랬어요. 일만 하지 말고 놀 줄도 아셨어야죠.

땅을 팔아서라도 좋은 차를 한 대 사서 두 분이 여행다니며 세상을 즐겼어야죠.

그래야 자식들이 부모를 알아서 모셔요. 평생 즐길 줄도 모르고 살면 자식들이 저희 부모는 당연히 그런가보다 생각하거든요.

늙으면 추해지니 좋은 옷도 사 입으세요. 물려줄 재산 생각하지 말고 생전에 다 쓰고 가세요.)

내 사진의 모델이 되어준 노부부를 보며 내 노후의 모델을 스케치해본다.

그들만큼 여유롭지는 않아도 그들만큼 외롭지는 않아야 할텐데. 친구들이 하나 둘 떠나는 모습을 지켜봐야 하는 일도 여간 괴로운 일이 아닐 것 같다.

 

나이 들수록 삶과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는 날이 많아진다.

지인들의 부음을 들으면서 나도 언젠가는 누군가에게 부음으로 전해지리란 생각도 한다.

눈앞에 닥친 노년의 삶을 어떻게 꾸려가야 할지, 어떤 모습으로 삶을 정리하고 떠나야 할지 생각하게 된다.

평균수명이 늘어난 대신 말년의 오랜 시간을 앓다가 죽는다는 통계를 보며 내심 우울하다.

나 역시 썩 건강한 편이 못되는지라 낡아가는 몸을 건사하려고 열심히 운동하지만 새벽마다 요통에 잠이 깨어 막막한 심경이 되곤 한다.

내가 잘 버텨내야 가족들이 편안할텐데. 가정에서 주부의 얼굴이 밝고 건강해야 온 집안이 화목하고 행복하지 않겠나.

 

몸은 늙고 추해지는데 마음대로 죽어지지 않을 때 나는 산 속으로 들어가리라 생각한 적도 있다.

깊은 산 속으로 끝없이 걸어 들어가 자연사하는 방법이 가장 이상적인 임종 같았다.

그건 불미스러운 자살도 아니고 엄연한 자연사니까 가족들에게도 큰 상처가 되지 않을 터,

만약 내가 불치의 병을 갖고도 지리멸렬하게 살아야 할 때 마지막으로 그 방법을 선택하고 싶었다.

사람에겐 누구나 존엄하게 죽을 권리가 있지 않을까.

 

내 노후의 모델은 외로워하지 않고 혼자 잘 놀 줄 아는 사람이다.

혼자 글 쓰고, 사진 찍고, 기타 치고, 운동하고... 혼자서도 잘 노는 사람이다.

누군가 곁에 없으면 정서불안에 시달리는 사람은 결코 되고 싶지 않다.

더불어 살아가는 게 인생이지만 마지막 길은 혼자 가는 것이므로 천천히 아주 천천히 혼자가 되는 것에 익숙해지고 싶다.

오백 년을 의연하게 버틴 느티나무처럼 나도 내 몫으로 받은 세월을 아름답게 물들이며 늙어가고 싶다.

'名色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장(名匠)  (0) 2014.04.07
독백  (0) 2013.12.12
말(言) 달려라  (0) 2013.07.10
봄은 오지 안았다  (0) 2013.06.16
수달래가 있는 풍경  (0) 2013.05.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