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 여왕이 사라졌다. 하룻밤 사이에 어떤 낌새도 없이 증발해버린 것이다.

그녀가 어떤 사람이던가. 평생 고향에서 터를 잡고 살아가며 동네 인심을 잃지 않았던 부식가게 아줌마,

아무리 힘들거나 어려워도 내색하지 않고 괜찮아’ ‘잘 될거야를 연발하던 긍정의 아이콘. 오죽하면 지인들이 그녀의 별명을 긍정 여왕으로 불렀을까.

지지리도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그녀는 중학교 진학도 못 하고 열세 살에 학교 급사가 되었다고 한다.

당시 관공서나 회사 등에는 잔심부름 해주는 급사(給仕)를 두었는데

그녀는 어린 나이에 아침 일찍 출근해 교무실 청소를 하거나 교사들의 잔시중을 들으며 돈을 벌었다. 

물걸레로 바닥을 닦고 책상 정리를 도우면서 그녀는 타이핑을 배웠고 몇 년 후엔 서무실로 진출하게 된다.

그녀의 성실함과 착한 성품을 좋게 본 학교에서 그녀를 급사에서 서무로 진급시킨 것이다.


무능한 부모와 연년생으로 줄줄이 자라는 동생들을 위해 그녀는 꽃다운 시절을 반납하고 서무실에서 일에 치여 살았다.

공납금을 현금으로 받던 시절, 하루 종일 돈 세느라 머리가 아팠던 그녀는 근면 성실로 재단의 신임을 얻어

당시 학교사회에서 자주 발생하던 횡령이나 배임으로부터 안전판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가정환경 때문에 일찌감치 사회생활을 시작한 그녀는 혼자 벌어서 온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면서도 툴툴대거나 신세 한탄을 하지 않았다.

빠듯한 월급으로 동생들의 학비와 생활비를 조달하며 늘 마이너스 인생을 살았지만 한 번도 못 살겠다거나 죽고 싶다는 말을 입에 올리지 않았다.

하루하루 살아가는데 급급했던 그녀에게 비관이나 절망은 사치에 불과했는지도 모른다.


수렁 같은 삶을 초원으로 여기며 살아온 그녀는 삼십대 후반에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결혼에 이르게 된다.

동생들 공부시켜 시집 장가보내고 마지막으로 테이프를 끊은 그녀에게 어머니가 했던 말은, 

시집 안 가면 안 되겠니? 이제 와서 남의 집 종살이는 왜 하려고?’

무한긍정의 딸을 둔 그 어머니는 놀랍게도 비관적인 허무주의자였던 것이다.


사람에겐 저마다의 몫이 있고 운명에는 질량불변의 법칙이 작용한다고들 한다.

어릴 때 많은 복을 누린 사람들은 늙어서 초라해지기 쉽고, 청춘을 맘껏 구가한 사람은 나중에 초라해지기 쉬우니

겸손하게 자신의 복을 지키라는 뜻으로 들었다.

나는 열세 살에 사회로 나와 다섯 식구의 생계를 책임지며 살아온 그녀가 늦복을 누릴 거라고 믿었다.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흔한 말을 믿어서가 아니라, 언제나 희망을 버리지 않고 무한 긍정으로 살아온 그녀였기에

뒤늦은 복이라도 실컷 받았으면 하는 바람을 가졌던 건지도 모른다.


평생 일하라는 팔자를 타고 났는지 결혼해서도 가게를 운영하던 그녀는 홀시어머니를 모시고 열심히 살았다.

늦은 나이에 시집 온 며느리를 나이 많다고 삐쭉거리며 냉대를 일삼던 시어머니는 반신불수의 몸을 끌고도 경로당에 다니며 며느리 흉보기에 바빴다.

오죽하면 경로당 노인들이 입을 모아 말했을까. ‘저 노친네가 굴러온 복을 발로 차네. 쯔쯧~’

출가 전에는 친정 식구들 건사하다가 결혼해서는 시집까지 짊어져야했던 여인, 동네 사람들은 누구나 그녀를 천사와 동급으로 생각했다.

날개만 없을 뿐 그녀는 분명 천사였고 고달픈 자신의 삶을 무한긍정으로 받아들였던 효녀 심청이었다.


긍정 여왕이 사라졌다는 소식에 동네 사람들은 그녀의 가게로 모여들었다.

굳게 닫힌 그녀의 가게 문에 상가 임대종이만 초라하게 붙어있었다. 부동산 말에 따르면

진작부터 가게 현상유지가 어려웠는데 시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정리하기로 마음먹었더란다.

그리고, 놀랍게도 그녀는 얼마 전 위암 말기 진단을 받았단다. 가게에 매여 제 시간에 밥도 못 먹었을 그녀가, 고생 끝에 낙 대신 암이라니.

나는 배신당한 사람처럼 분노가 치밀었다.

매사 긍정적으로 살아야 성공한다고, 부정적인 사람은 멀리하고 긍정적인 사람과 가까이 지내라는 말을 들으며 살았다.

그런데, 긍정의 아이콘이었던 그녀가 이런 푸대접을 받아도 되는 걸까? 이거야 말로 긍정의 배신 아닌가?

나는 그동안 긍정성에 대해 지나친 신뢰를 가졌던 게 아닐까.


론다 번의 시크릿이나 이지성의 꿈꾸는 다락방처럼 세상에는 긍정을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는 책들이 많다.

유명 강사들은 객관적인 실험과 통계를 제시하며 긍정이야 말로 성공의 열쇠이며 삶을 바꿀 수 있는 키워드라고 강조한다.

자기계발서와 코칭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긍정 마인드는 미국이 원조로 알려져 있는데

아이러니컬하게도 미국인의 행복지수는 세계 23, 세계 우울증 치료제의 3분의2가 미국에서 소비되고 있다고 한다.

세계의 패권을 쥐고 있으며 자국민의 긍정성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나라가 내면적으로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사실은

긍정 마인드가 반드시 성공과 행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긍정적인 사람들이 인간관계에서 상대방을 편안하게 해주는 건 사실이지만 정작 그들 자신이 얼마나 편안하고 행복한지는 의문이다.

천사처럼 착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거절도 못하고 남의 비위를 맞춰주며 사는 천사병 환자는 얼마나 불행한가.


무한긍정의 함정에 빠져 위험을 감지하지 못했던 그녀가 안쓰럽다.

세상 어던가에 그래도라는 섬이 있다고 믿었던 그녀가 말기암을 선고받다니. 그녀의 무한 긍정이 시한부로 끝난 느낌이다.

의심하고 부정하며 조금씩 미워하며 살 일이다.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방법은 긍정보다 부정일지도 모른다.


'名色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낭만과 落望  (0) 2020.12.22
오징어  (0) 2020.10.19
울릉도 유감  (0) 2019.06.18
시절인연  (0) 2019.04.07
어떤 출가  (0) 2019.01.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