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 모르고 핀 꽃을 탓할 일은 아니다.
삭막한 계절에 환한 미소를 보여주는 존재가 고먀울 뿐
세상에 철없는 것들이 어디 너희 뿐이겠니?
교사로 퇴직한 지인이 모임에 나오지 않은 지 2년이 넘었다.
인생 이모작을 외치던 그녀가 나타나지 않자 궁금해 하던 친구들이 뒷전에서 슬슬 빈정대기 시작했다.
“둘이 연금 합치면 칠백만 원이나 될낀데, 나와서 밥도 좀 사고 그카지, 꼭꼭 숨어서 뭐하는 기고? 해외여행 다니나?”
직장생활이 바쁘다는 핑계로 일 년에 한두 번 만나기 어려웠던 친구였지만 이렇게 오래 못 본 건 처음이다. 혹시 몹쓸 병에 걸렸나? 오래 앓아누운 건 아닐까? 전화를 해도 요리조리 피하고, 어쩌다 통화를 해도 심드렁한 것이 아무래도 수상하다.
교외에 자리한 전원주택으로 그녀를 찾아간 건 지난 가을이었다. 단풍놀이 갔다 잠시 들른 것처럼 위장하고 그녀의 집을 급습했다. 담장에 장미넝쿨을 올린 그들의 집은 평온하기 그지없어 보였다. 적어도 겉으로는.
“모두 내 욕 많이 했지? 귀가 간지럽더라.”
시니컬하게 웃으며 그녀가 털어놓는 얘기에 울지도 웃지도 못 하고 앉아있었다. 은퇴자들이 부러워하는 ‘고액 연금 수령자’ 부부가 생활비에 쫓긴다는 사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모임에 나가 돈 쓸 형편이 안 된다는 게 엄살일 뿐일까?
그 집 아이들은 둘 다 해외유학파다. 심지어 큰아들은 MBA 출신이다. 교육자 집안 애들이라 공부 하나는 똑 소리나게 잘한다고들 부러워했다.
문제는 국내에 그들이 취업할만한 회사가 없다는 거였다. 취업은 쉬운데 6개월 버티기가 쉽지 않았다. 국내 기업들의 경영 방식이 마음에 안 들고, 연봉이 마음에 안 들고, 조직 문화가 마음에 안 든다고 했다. 아들들이 원하는 회사는 적어도 나스닥 시총 10위 안에 드는 기업이라나.
“눈을 좀 낮춰서 취업하라고 해도 말을 안 듣네. 지금까지 공부한 게 아깝다고.....”
낮게 한숨을 쉰다. 미국 유학까지 보내줬으면 그만이지 아직도 아들을 끼고 사냐고 다그쳤더니 대답이 압권이다. 둘이 연금 받아서 애들 생활비 대줘야 한다고. 홀로서기 할 때까지 부모가 뒷바라지 해줘야 하지 않겠냐고.
“애들한테 매월 수백 만 원씩 부쳐야 하니 우리가 쓸 돈이 없네. 그동안 모아둔 걸로 근근이 버텼는데 이젠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겠어. 인생 이모작은 꿈이었나봐.”
그들이 시골집에 들어앉은 이유는 자녀 리스크 때문이었다. 30년 넘게 일한 대가로 남들보다 두둑한 연금을 받게 됐지만 자식 앞에서 공든 탑이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누군가 고통과 상처. 갈등을 이야기 할 때는 충고나 조언, 평가와 판단을 하지 말아야 한다. 충조평판은 고통에 빠진 사람의 상황에서 고통은 소거하고 상황만 인식할 때 나오는 말이다. ‘정혜신 ’당신이 옳다‘ 중에서>
경사보다 애사가 많은 나이가 되었는데도 가끔 결혼식에 갈 일이 있다. 지난 연말엔 오랜 지기의 장남이 결혼한다는 소식을 전해왔다. 한 부모 가정이라 하객 걱정을 하기에 2시간을 운전해 결혼식에 참석했다. 비혼이 유행인 시대에 결혼이라니, 그 집 아들이 고맙고 대견했다.
그러나 기뻐야 할 결혼식 내내 혼주의 얼굴이 어딘지 어둡고 불안해 보였다. 더군다나 가족석에 있어야 할 작은 아들 내외가 보이지 않았다. 우는 듯 웃는 그녀와 눈만 맞추고 아무 것도 묻지 못한 채 돌아왔는데 그날 저녁 전화가 걸려왔다.
“작은 아들이 또 사고를 쳤어. 무면허로 운전하다 음주단속에 걸려 가중처벌 받게 생겼대. 지금 구치소에 있는데 징역 최하 3년 받겠다네..... ”
“세상에! 말도 안 된다. 애가 셋이나 있는 넘이 음주운전을? 그게 제 정신이야?”
제 정신 아닌 거 맞다. 그 아들은 어릴 때부터 천방지축이었다. 흔히들 말하는 비행청소년으로 제 엄마 속을 무던히도 썩였다. 몇 년 전엔 졸음운전으로 지게차를 들이받아 일 년 가까이 침대에 누워 지내기도 했는데 제 엄마가 소 대변을 다 받아냈다. 며느리는 병원 근처에도 오지 않았다. 애들이 어려서 업고 걸리고 병원 드나들 형편이 못 되었던 것이다.
그때 제 엄마가 얼마나 고생했는지 제 아내가 얼마나 속을 끓였는지 모르는 걸까. 사고 이후 불과 5년만에 음주운전으로 면허 취소 당하더니 이번엔 또 무면허로 음주 운전이라니.
형의 결혼식을 앞두고 대형 사고를 친 작은 아들 때문에 기쁜 날 혼주의 얼굴이 그토록 어두웠구나. 겉으로는 웃고 속으로는 통곡하던 그 마음을 누가 알까?
“사돈한테 면목이 없어서 전화도 못 한다. 며느리가 과연 애들 키우며 옥바라지 하겠나? 내가 저한테 그리 정성을 다해도 본척만척, 어머님이 자식을 잘 못 키워서 그렇다고 원망하더니만.”
모범답안 같은 엄마 밑에서 어찌 저런 아들이 나왔나 싶게 광포한 삶을 살아온 아들, 목회자를 소망했던 형에 비해 정반대의 길을 걸어 마침내 폭망에 이르렀다. 그의 피 속을 돌던 광기가 아내와 아이들을 절망의 구렁텅이로 몰아넣고 양쪽 부모 가슴에 난도질을 하고 있다. 사람 고쳐 쓰는 거 아니라는 말은 만고불변의 진리다. 한없이 주고 또 주고 진심으로 포용해도 내 것이 안 되는 사람이 있다. 그것이 자식일지라도.
<자식을 불행하게 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언제나 무엇이든지 손에 넣을 수 있게 해주는 일이다. 루소(Rousseau) '에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