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통 시멘트로 처바른 절, 동화사(桐華寺)가 보기 싫어서 팔공산에 안간지 오래다.

실로 3년여 만에 다시 팔공산 자락을 찾아드니 그 넓은 품은 여전히 아늑했다.

신라 5악(五岳)의 하나였던 팔공산은 영남에서 빼어난 명산이다.

원효와 의상이 수도했다고 하는데 사실 우리나라 사찰 중에

두 스님의 발자국이 안 스친 곳이 거의 없다.

혹시 후세 사람들이 두 스님의 유명세를 이용한 건 아닐까?

아니라면 두 분의 신통력이 워낙 출중해서 축지법을 사용해

팔도강산 곳곳에 절도 짓고 수행도 했나보다.




은해사를 지나 갓바위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가파른 계단을 30여분 올라 갓바위로-

막다른 산정 암릉 위에 우뚝 앉아계신 돌부처님은 머리 위에 갓을 쓰고

왼쪽으로 약간 기우뚱한 모습으로 수심에 잠겨계셨다.

산정의 바위를 다듬어 불상과 좌대를 만든 모습이 특이한데,

정성껏 빌면 한 가지 소원만은 꼭 들어주신다고 한다.

(부처와 보살을 구별하는 방법은 머리 모양에 있다.

부처님은 파마머리, 보살님은 관을 쓰고 계신다.)



불상 아래 엎드린 수많은 중생들은 끊임없이 약사여래불을 외고 있다.

몇 년전보다 불상이 좀 더 기우뚱해진 것 같고, 수심이 깊어 보인다.

하긴, 저 많은 중생들의 소원을 다 들어주자면 부처님인들 얼마나 고민이 많을까?

수명장수 소원, 시험 합격 소원, 로또복권 당첨 소원까지 다 들어주자면

부처님 신통력에도 한계가 느껴지실 게다.

그래서 나는 소원을 빌지 않고 가볍게 합장만 하고 물러나왔다.



갓바위에서 동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암릉미가 대단하다.

희고 매끈한 바위들이 기기묘묘한 모습으로 짙푸른 숲과 어우러져있다.

걷고 또 걷고, 건너뛰고, 기어오르고, 매달리고...

대구 시가지가 조망되는 지점.

전망바위에서 내려다보는 팔공컨트리클럽엔

몇몇 부르조아들이 한가롭게 파리채(?)를 휘두르고 있다.

동봉 저 아래 보기 싫은 동화사, 그 너머 대구 시가지가 스모그 속에 잠겨있다.

동봉까지 가자니 원점회귀가 부담스러워 은해사 쪽으로 길을 잡았다.



펑퍼짐한 바위 틈에 ‘만년송’으로 이름 붙은 소나무.

팔공산에서는 그런 나무가 잘생긴 축에 드는지 모르겠지만

내 보기엔 울산근교 영남알프스 일원의 소나무가 훨씬 낫다.

가지산 북릉의 쭉 뻗은 소나무, 영취산 일대의 적송...

운문사 처진 소나무를 팔공산 만년송과 빗대기는 너무 야박한 것 같고.



내 생각엔 만년송이 너무 늙은 것 같다.

둥치에 비해 잎이 너무 허술하여 탈모증 걸린 머리 같고

솔방울을 유난히 많이 단 것이 수명이 다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

식물이건 동물이건 종족보존의 본능은 대단하다고 한다.

그래서 식물도 죽기 전에는 종자를 퍼트리려고 열매를 많이 맺는다나?

바위틈에서 모진 비바람을 이기며 수백년 살아왔을 저 소나무,

“가야할 때가 언제인가를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라는 싯귀가 문득 생각났다.

자연에 순응하는 나무들처럼 나도 자연스럽게 살고싶다.



은해사까지 내려가면 돌아올 차가 마땅치 않을 것 같아 중암암만 보기로 한다.

얼마전 석가탄신일에 텔레비전에 방영되어 더욱 유명해진 중암암(中岩庵)은

‘돌구멍절’로 통하기도 한다.

십수미터 바위 쪼개진 틈 사이가 사람이 옆으로 서서 겨우 통과할 정도인데

죄 많은 사람은 이 틈을 통과하지 못한다나, 어쩐다나? (나는 통과했다!!!)

세 번 통과하면 극락을 간다면서 할머니들이 억지로 바위틈을 비집는데

보는 사람이 안타까워 땀이 날 정도다. 극락 안가고 말지 왜 저 고생을 하남?

(살찐 사람은 절대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작은 틈이다. 왕언니는 과연?)



중암암에서 또 유명한 건 우리나라 사찰에서 가장 깊다는 변소.

푸세식도 아니고 수세식도 아니고 그야말로 자연발효 천연화장실인데

정월초하룻날 대변 보면 섣달 그믐날 저 아래에 떨어지는 소리가 난다나?



김유신이 수련했다는 암자, 그래서 장군수라는 물도 유명한데

입구의 낡은 석탑을 보니 오랜 역사를 짐작할 수 있겠다.

산자락이 넓고 골이 깊다보니 팔공산에는 크고 유명한 사찰이 많다.

동화사, 파계사, 은해사... 시멘트만 처바르지 않았다면 참 좋았을 걸.

나는 개인적으로 고답적이고 퇴락한 사찰 분위기를 좋아한다.

절은 절다워야지 번쩍번쩍 동기와 얹고 시멘트를 처바르면 싫다.

불교 발전을 위해서 어쩔 수 없다해도 내심 마음에 들지 않는다.



갔던 길을 되짚어 능선을 타고 돌아오는 길,

밤꽃 향기 더덕 향기 사이로 뻐꾸기 울음이 유난히 외롭다.

해가 길어져서 6시간 산행해도 아직 한낮의 햇살이 남아있다.

갓바위 부처님께 마음으로 빌었다.

“이 죄 많은 중생을 용서하소서!”



'산으로 가야겠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덕도 산행기  (0) 2005.10.18
황매산 꽃불  (0) 2005.08.07
산정의 불놀이  (0) 2005.07.14
용소골에서  (0) 2005.07.14
하늘기둥  (0) 2005.07.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