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을 가진 사람들은 자식으로 인해 또 하나의 가족관계를 맺는다. 엄밀한 의미로는 가족이 아니지만 반려견도 가족으로 여기는 시대에 사돈도 가족이 될 수 있지 않는가. 물론 관계가 돈독하고 화기애애한 집안에만 해당되겠지만.

사돈(査頓)은 한자어지만 중국이나 일본에선 사용하지 않는 말로 '사(査)는 조사하다', '돈(頓)은 조아리다'라는 뜻이다. 원래 사돈이라는 말은 만주어의 '사둔'이나 몽골어의 '사든'에서 왔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일부 지방에서는 사돈을 사둔이라고 부른다. 만주나 몽골에서 들어온 말을 사대부들이 한자를 붙인 것으로 짐작되니 고구려 때나 고려시대부터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사돈(査頓)은 우리가 아는 사돈의 뜻과 아무 관련이 없지만 가만히 생각해보면 사실 무근하지도 않다는 생각이 든다. 혼인으로 맺어진 두 집안이 상대방 가문을 암암리에 조사(査)하기도 하고 서로 어려운 관계라 머리를 조아리는(頓) 심정이 되기도 하니까.

자식을 나누어 가지면서도 가깝게 지내기 어려운 관계라 그런지 사돈을 두고 내려오는 속담도 많다. ‘사돈 남 말 한다’ ‘사돈집과 뒷간은 멀수록 좋다.’를 비롯해 ‘딸네 사돈은 꽃방석에 앉히고 며느리네 사돈은 가시방석에 앉힌다’는 말도 있다. 사돈이 얼마나 어렵고 조심스러운 관계인지 때로는 남보다 못한 관계인지 언중유골로 전해주는 속담이다.

“우리는 사돈이 없어. 자식이 둘이나 있는데도.”

하고 탄식하는 지인이 있다. 1남1녀 잘 키워 시집 장가 보냈는데 사돈이 없다니? 동그랗게 뜬 내 눈을 보며 그녀가 나직이 들려준 얘기는 세태의 단면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그집 아들이 오랫동안 사귄 여자가 있다며 결혼하고 싶다기에 상견례 날을 잡았다고 한다. 오래 두고 사귄 상대니 믿을만하겠거니 생각했단다. 고급 한정식집에서 두 내외와 아들 딸이 자리를 잡았는데 이상하게 예비 사돈 둘이 한 번도 눈을 마주치지 않더라는 거다. 나란히 앉았지만 마지못해 나온 자리처럼 어색하고 특히 안사돈이 불편해하는 기색이 역력하더라나. 예비 며느리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 그런가 생각했더니 그녀는 식사 자리가 끝나자마자 찬바람을 일으키며 사라져버렸다고 한다. 알고 보니 두 사람은 오래 전에 이혼했다고, 헤어진 후 한 번도 보지 못한 사이라고. 딸이 애원을 해서 어쩔 수없이 상견례 자리에 잠시 나온 거라고. 놀라 가슴을 쓸어내리는 엄마에게 그집 아들이 하는 말

“부모 이혼한 게 자식 죄는 아니잖아요. 우리만 잘 살면 되잖아요.”

다행히 그집 아들은 결혼한 지 십년이 넘도록 잘 살고 있다. 친모 대신 시모를 어머니처럼 의지하는 며느리와 각별한 정을 나누며 지내는 지인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결손가정에서 자란 며느리를 따뜻하게 품어주고 흠을 들추지 않는 시어머니, 정말 훌륭하지 않은가?

아들이 장가든 지 삼년 뒤 이번엔 딸이 사윗감을 데려왔다. 서글서글한 성격에 듬직한 직장에 근무하는 총각이라 내심 흡족하게 여겼다. 서둘러 상견례 날을 잡아 혼인 절차를 밟게 되었다.

그런데 상견례 당일 약속시간이 지나도록 안사돈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었다. 예비사위가 시계를 보며 안절부절 못하다가 전화 한 통을 받더니 하는 말이 ‘어머니가 급한 일로 못 오시겠다고....’ 고개를 푹 숙였다. 알고보니 두 부부는 존혼했더라나.

아들 사돈은 이혼, 딸 사돈은 졸혼. 그래서 사돈이 없다고 한숨짓는 지인은 사돈끼리 돈독하게 지내는 집이 참 부럽다고 한다. 자식을 나누어 가진 사이로 친밀하게 지내면 얼마나 좋을까만 현실은 그리 쉽지 않은 것같다. 시대가 변해도 사돈은 여전히 조심스럽고 껄끄러운 관계일 뿐일까.

얼마전 뉴스에 서울의 한 예식장에서 벌어진 사건이 보도되었는데 웨딩홀 식당에서 신랑 신부 가족이 의견 충돌이 일어나 식탁을 뒤집어엎는 사태가 발생했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치고받는 액션이 벌어진 후 사위가 장인을 고소하기에 이르렀다니 깜짝 놀랄 일 아닌가.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하객들도 있는데 그 앞에서 치고받고 싸우다니 보통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 된다. 상식의 범주를 넘는 일이 비일비재한 세상이지만 이쯤 되면 말세라는 말이 저절로 나올만하다.

부모 노릇 자식 노릇 제대로 하고만 살아도 인생 성공하는 건데, 나아가 세상이 화평해질 텐데. 각기 맡은 최소한의 소임을 다하기도 쉽지 않은가 보다. 사회의 최소 단위가 가정이라는 말도 있지만 요즘 사람들은 가정이라는 공동체보다 자신의 삶이 더 중요한가 보다. 나 또한 예외일 수는 없겠고.

 

'名色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발  (48) 2023.05.27
상남자  (0) 2023.05.14
코마(coma)  (0) 2022.08.30
나홀로 섬에  (0) 2022.07.16
신발을 위한 사색  (0) 2022.04.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