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이 지난 뒤부터 등산을 다시 시작하기로 했다.
대기엔 상기 푸른 어둠이 멈칫거리며 남아 있는 이른 아침.
아파트 뒤쪽으로 걸어서 십 분쯤이면 나타나는 산길을 따라 나는 발 밑을 보지 않고도 산을 오를 수가 있었다.
지난여름 이곳을 지날 땐 잠이 덜 깬 어린 새들이 숲 속에서 칭얼대는 소리가 들려왔었지. 산모롱이를 돌 때마다 기억이 새로웠지만 지금 여기 남아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러나 이제 곧 숲에는 푸른 잎이 되살아나고 새들도 다시 이곳에 둥지를 틀 것이다.
겨우내 듣지 못했던 새소리가 그리워 나는 駿足준족의 봄이 축지법으로 달려왔으면 싶다.
산을 내려오면서 나는 아파트촌을 한 바퀴 돌아보기로 했다.
언덕을 밀어 부치고 야산을 깎아낸 터에 끝없이 들어서고 있는 건물들. 불과 몇 달 사이에 산이 하나 없어지고 그 자리에 아파트가 서 있는 걸 보면서 걷고 있는데 어디선가 문득 낯익은 새 소리가 들려왔다.
깍깍깍.
그것은 동터오는 아침을 우짖는 까치 소리였다. 나는 까마득히 잊고있던 고향친구를 만난 듯 반가워서 고개를 번쩍 들었다.
놀랍게도 까치는 철탑 위에 높다랗게 집을 지어놓고 있었다.
산이 가까운데도 하필이면 저 곳에다 집을 지었을까?
철탑 꼭대기 근처에 위태위태하게 걸려있는 까치집을 보며, 나는 참 잔망스런 새도 다 있구나 싶다가 이내 그 까치의 총명함을 깨달았다.
한두 달 사이에 산 하나가 잘려나간 곳이니 나무인들 온전할 것인가. 까치는 산에서 마음놓고 제 집을 지을 나무가 없음을 알았던 게 분명하다. 그래서 보다 안전한 곳에 보다 튼튼한 집을 짓는다는 것이 철탑 위에 둥지를 틀게 되었나 보다.
깍깍깍.
정다운 그 지저귐은 어느덧 나의 마음을 어린 시절 고향집으로 이끌어 간다.
그 때가 아마 초등학교 이삼 학년쯤이었을까?
단발머리 촐랑대며 학교에서 돌아오는데 집 뒤뜰에 서 있는 나무 위에서 까치가 우짖고 있었다.
그 때만 해도 새가 흔할 때라 나는 예사롭게 보고 말았지만 이상하게 그 까치는 해 저물도록 다른 데로 날아가지 않고 나무 위에서 깍깍댔다.
그러더니 며칠이 지난 어느 날 까치는 친구 까치 한 마리를 더 불러다 나무 위에 집을 짓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까치들은 부리로 삭정이를 물어다 나무 위에 하나씩 하나씩 걸쳐놓고 있었는데 그 모양이 어린 내 눈엔 퍽 어설퍼 보였다.
내가 까치집을 짓는다면 삭정이를 한아름 안고 나무위로 올라가 단숨에 뚝딱 집을 지을 수 있을 텐데 하고 나는 생각했던 것 같다.
그 조그맣고 연약한 부리로 삭정이를 하나씩 물어다가 언제 둥우리를 다 만든담.
마당가에 서서 답답한 까치집의 기초공사를 지켜보던 나는 문득 기발한 착상이 떠올랐다. 까치를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생각난 것이다.
나는 그 길로 야산을 쏘다니며 삭정이를 주워 치마폭에 담아 집으로 날랐고, 툇마루에 수북이 쌓인 그 꼬챙이들을 널찍한 대바구니에 담아서는 장독 위에 올려놓았다.
까치더러 멀리 가서 삭정이 물어오는 고생은 그만하고 내가 주워온 걸 물어다 집을 지으라는 뜻이었다.
내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까치는 연신 나무 위를 오르내리며 깍깍거렸는데, 나는 까치가 바구니 속의 삭정이를 물고 가는 걸 볼 양으로 방안에 베개를 겹겹이 쌓아놓고 그 위에 올라가 봉창으로 몰래 까치의 거동을 살피고 있었다.
사람이 곁에 있으면 까치가 멋쩍어서 삭정이를 물어가지 않을 것 같아서였다.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까치는 장독대 위에 내려오지 않았고, 애가 달은 어린 가슴이 이번엔 장독 위를 조심조심 기어올라 바구니를 좀 더 높은 담 위에다 올려놓았다.
머슴들이 들에서 돌아와 그 꼴을 보더니 왁자하게 웃어 제치며 나를 놀려댔다. 그러나마나 나는 집요하게 까치들이 바구니 속의 삭정이를 물어가기를 기다렸다.
하루는 읍내 장에 갔다 오는데 까치집이 어제보다 부쩍 높아진 것 같아 부리나케 장독 위에 올라가 보니 희한하게도 바구니 속의 삭정이가 많이 없어져 있었다.
어제 그제는 체면 차리느라 보고도 못 본 척하던 까치들이 오늘은 드디어 삭정이를 물고 갔구나 싶으니 어린 내 가슴은 참새 가슴이 되어 기쁨으로 가득 찼고, 오늘은 기어이 현장을 잡을 양으로 툇마루에 차려 놓은 꽁보리밥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그저 봉창에만 눈을 대고 있었다.
하지만 나는 끝내 까치가 담 위에 내려앉아 삭정이 물고 가는 것을 볼 수가 없었다. 참 얄밉도록 눈치 빠른 새였다. 누가 보면 어때서 그렇게 새침을 떼고 안 물어 간담. 못내 서운했지만 나는 까치가 그 삭정이를 물어다 집을 지었다는 확신만으로 신기해서 입에 자랑이 마르지 않았다.
“니 할매랑 할밴가 부다.”
어머니는 돌아가신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환생해서 우리 집에 오신 것이라고 했다. 아침마다 까치밥을 나무 밑에다 부어주시며 어머니가 중얼중얼 하시는 말씀은 꼭 생시의 할머니와 얘기하는 것처럼 보였다.
아마 그 때부터 나는 사람이 죽어서 새가 된다는 것을 막연히 믿게 되었는지 모른다.
까치가 우리 집 뒤뜰에 집을 지은 뒤로 한동안 나는 비가 오면 까치집에 비 샌다고 걱정하고 바람 불면 까치집 날아갈까 봐 걱정했다. 아침마다 눈을 뜨면 베갯머리에서 깍깍 울어대는 까치 소리가 어린 시절의 나를 무척 즐겁게 해주었다.
어디 그 뿐인가.
흔들리는 앞니를 뽑아 지붕 위로 던지며 '까치야 까치야 너는 헌 이 가져가고 내겐 새 이를 다오'하면 까치는 어김없이 나에게 박씨같이 하얀 새 이빨을 주었고, 다래끼가 나서 동무들에게 놀림감이 되어도 '까치야 까치야 물에 빠진 네 새끼 건져줄께 내 눈 낫게 해다고. 고기하고 밥줄께. 내 눈 낫게 해다고' 하면 어느 샌가 내 눈의 다래끼는 씻은듯이 나았다.
이렇듯 까치는 어린 시절부터 나의 정서 속에 살아있었다.
칠월 칠석이면 견우 직녀가 만나는 오작교를 잇는다는 새. 먼데서 오는 길손을 단번에 알아내는 새.
까치는 오랫동안 우리 산야의 텃새로 모든 사람들에게 더없이 친숙한 야조野鳥이기도 하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까치는 우리들 곁에서 떠났고, 남아있는 몇 마리는 이제 고향길 어귀에서나 만날 수 있는 새가 되어버렸다.
깍깍깍.
철탑 위에 집을 지은 저 까치는 제 조상들이 사람들과 수천 년 동안 가까이 지낸 내력을 알기라도 하는 것일까?
산을 밀어내고 나무를 베어간 사람들이지만 그래도 오랜 세월 사람 가까이 살아온 제 조상의 피를 닮아, 산으로 가지 않고 철탑 위에 얼기설기 집을 지은 저 까치.
아침마다 철탑 위에서 아파트를 내려다보며 우짖다가, 시루떡 만한 창문을 여는 새댁이라도 만나면 까치는 제 소리를 알아들은 줄 알고 기뻐서 또 깍깍깍.
나는 까치 소리를 들으며 한참이나 그 자리에 서 있었다.
새벽같이 우물터에 나온 수다스런 여인네가 밤새 맑게 고인 물에 두레박을 던지듯, 미명이 걷힌 하늘을 깨뜨리며 까치는 곱지도 밉지도 않은 그 목소리로 새아침을 우짖고 있었다.
대기엔 상기 푸른 어둠이 멈칫거리며 남아 있는 이른 아침.
아파트 뒤쪽으로 걸어서 십 분쯤이면 나타나는 산길을 따라 나는 발 밑을 보지 않고도 산을 오를 수가 있었다.
지난여름 이곳을 지날 땐 잠이 덜 깬 어린 새들이 숲 속에서 칭얼대는 소리가 들려왔었지. 산모롱이를 돌 때마다 기억이 새로웠지만 지금 여기 남아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러나 이제 곧 숲에는 푸른 잎이 되살아나고 새들도 다시 이곳에 둥지를 틀 것이다.
겨우내 듣지 못했던 새소리가 그리워 나는 駿足준족의 봄이 축지법으로 달려왔으면 싶다.
산을 내려오면서 나는 아파트촌을 한 바퀴 돌아보기로 했다.
언덕을 밀어 부치고 야산을 깎아낸 터에 끝없이 들어서고 있는 건물들. 불과 몇 달 사이에 산이 하나 없어지고 그 자리에 아파트가 서 있는 걸 보면서 걷고 있는데 어디선가 문득 낯익은 새 소리가 들려왔다.
깍깍깍.
그것은 동터오는 아침을 우짖는 까치 소리였다. 나는 까마득히 잊고있던 고향친구를 만난 듯 반가워서 고개를 번쩍 들었다.
놀랍게도 까치는 철탑 위에 높다랗게 집을 지어놓고 있었다.
산이 가까운데도 하필이면 저 곳에다 집을 지었을까?
철탑 꼭대기 근처에 위태위태하게 걸려있는 까치집을 보며, 나는 참 잔망스런 새도 다 있구나 싶다가 이내 그 까치의 총명함을 깨달았다.
한두 달 사이에 산 하나가 잘려나간 곳이니 나무인들 온전할 것인가. 까치는 산에서 마음놓고 제 집을 지을 나무가 없음을 알았던 게 분명하다. 그래서 보다 안전한 곳에 보다 튼튼한 집을 짓는다는 것이 철탑 위에 둥지를 틀게 되었나 보다.
깍깍깍.
정다운 그 지저귐은 어느덧 나의 마음을 어린 시절 고향집으로 이끌어 간다.
그 때가 아마 초등학교 이삼 학년쯤이었을까?
단발머리 촐랑대며 학교에서 돌아오는데 집 뒤뜰에 서 있는 나무 위에서 까치가 우짖고 있었다.
그 때만 해도 새가 흔할 때라 나는 예사롭게 보고 말았지만 이상하게 그 까치는 해 저물도록 다른 데로 날아가지 않고 나무 위에서 깍깍댔다.
그러더니 며칠이 지난 어느 날 까치는 친구 까치 한 마리를 더 불러다 나무 위에 집을 짓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까치들은 부리로 삭정이를 물어다 나무 위에 하나씩 하나씩 걸쳐놓고 있었는데 그 모양이 어린 내 눈엔 퍽 어설퍼 보였다.
내가 까치집을 짓는다면 삭정이를 한아름 안고 나무위로 올라가 단숨에 뚝딱 집을 지을 수 있을 텐데 하고 나는 생각했던 것 같다.
그 조그맣고 연약한 부리로 삭정이를 하나씩 물어다가 언제 둥우리를 다 만든담.
마당가에 서서 답답한 까치집의 기초공사를 지켜보던 나는 문득 기발한 착상이 떠올랐다. 까치를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생각난 것이다.
나는 그 길로 야산을 쏘다니며 삭정이를 주워 치마폭에 담아 집으로 날랐고, 툇마루에 수북이 쌓인 그 꼬챙이들을 널찍한 대바구니에 담아서는 장독 위에 올려놓았다.
까치더러 멀리 가서 삭정이 물어오는 고생은 그만하고 내가 주워온 걸 물어다 집을 지으라는 뜻이었다.
내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까치는 연신 나무 위를 오르내리며 깍깍거렸는데, 나는 까치가 바구니 속의 삭정이를 물고 가는 걸 볼 양으로 방안에 베개를 겹겹이 쌓아놓고 그 위에 올라가 봉창으로 몰래 까치의 거동을 살피고 있었다.
사람이 곁에 있으면 까치가 멋쩍어서 삭정이를 물어가지 않을 것 같아서였다.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까치는 장독대 위에 내려오지 않았고, 애가 달은 어린 가슴이 이번엔 장독 위를 조심조심 기어올라 바구니를 좀 더 높은 담 위에다 올려놓았다.
머슴들이 들에서 돌아와 그 꼴을 보더니 왁자하게 웃어 제치며 나를 놀려댔다. 그러나마나 나는 집요하게 까치들이 바구니 속의 삭정이를 물어가기를 기다렸다.
하루는 읍내 장에 갔다 오는데 까치집이 어제보다 부쩍 높아진 것 같아 부리나케 장독 위에 올라가 보니 희한하게도 바구니 속의 삭정이가 많이 없어져 있었다.
어제 그제는 체면 차리느라 보고도 못 본 척하던 까치들이 오늘은 드디어 삭정이를 물고 갔구나 싶으니 어린 내 가슴은 참새 가슴이 되어 기쁨으로 가득 찼고, 오늘은 기어이 현장을 잡을 양으로 툇마루에 차려 놓은 꽁보리밥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그저 봉창에만 눈을 대고 있었다.
하지만 나는 끝내 까치가 담 위에 내려앉아 삭정이 물고 가는 것을 볼 수가 없었다. 참 얄밉도록 눈치 빠른 새였다. 누가 보면 어때서 그렇게 새침을 떼고 안 물어 간담. 못내 서운했지만 나는 까치가 그 삭정이를 물어다 집을 지었다는 확신만으로 신기해서 입에 자랑이 마르지 않았다.
“니 할매랑 할밴가 부다.”
어머니는 돌아가신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환생해서 우리 집에 오신 것이라고 했다. 아침마다 까치밥을 나무 밑에다 부어주시며 어머니가 중얼중얼 하시는 말씀은 꼭 생시의 할머니와 얘기하는 것처럼 보였다.
아마 그 때부터 나는 사람이 죽어서 새가 된다는 것을 막연히 믿게 되었는지 모른다.
까치가 우리 집 뒤뜰에 집을 지은 뒤로 한동안 나는 비가 오면 까치집에 비 샌다고 걱정하고 바람 불면 까치집 날아갈까 봐 걱정했다. 아침마다 눈을 뜨면 베갯머리에서 깍깍 울어대는 까치 소리가 어린 시절의 나를 무척 즐겁게 해주었다.
어디 그 뿐인가.
흔들리는 앞니를 뽑아 지붕 위로 던지며 '까치야 까치야 너는 헌 이 가져가고 내겐 새 이를 다오'하면 까치는 어김없이 나에게 박씨같이 하얀 새 이빨을 주었고, 다래끼가 나서 동무들에게 놀림감이 되어도 '까치야 까치야 물에 빠진 네 새끼 건져줄께 내 눈 낫게 해다고. 고기하고 밥줄께. 내 눈 낫게 해다고' 하면 어느 샌가 내 눈의 다래끼는 씻은듯이 나았다.
이렇듯 까치는 어린 시절부터 나의 정서 속에 살아있었다.
칠월 칠석이면 견우 직녀가 만나는 오작교를 잇는다는 새. 먼데서 오는 길손을 단번에 알아내는 새.
까치는 오랫동안 우리 산야의 텃새로 모든 사람들에게 더없이 친숙한 야조野鳥이기도 하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까치는 우리들 곁에서 떠났고, 남아있는 몇 마리는 이제 고향길 어귀에서나 만날 수 있는 새가 되어버렸다.
깍깍깍.
철탑 위에 집을 지은 저 까치는 제 조상들이 사람들과 수천 년 동안 가까이 지낸 내력을 알기라도 하는 것일까?
산을 밀어내고 나무를 베어간 사람들이지만 그래도 오랜 세월 사람 가까이 살아온 제 조상의 피를 닮아, 산으로 가지 않고 철탑 위에 얼기설기 집을 지은 저 까치.
아침마다 철탑 위에서 아파트를 내려다보며 우짖다가, 시루떡 만한 창문을 여는 새댁이라도 만나면 까치는 제 소리를 알아들은 줄 알고 기뻐서 또 깍깍깍.
나는 까치 소리를 들으며 한참이나 그 자리에 서 있었다.
새벽같이 우물터에 나온 수다스런 여인네가 밤새 맑게 고인 물에 두레박을 던지듯, 미명이 걷힌 하늘을 깨뜨리며 까치는 곱지도 밉지도 않은 그 목소리로 새아침을 우짖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