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11일>
비탈진 반그늘에 하얗게 깔린 바람꽃을 보고 싶어 나섰다가
꽃 대신 작은 폭포와 저수지를 발견했다.
자신이 사는 곳을 ‘물층지’라고 알려준 한 남자가
산 속 외딴집에 홀로 살고 있었다.
바람꽃을 찾아 헤매고 있는 두 여자를 불러 세운 그 남자는
놋화로가 놓여진 방에서 사주 관상에 수상까지 봐주었다.
“당신은 고독한 사주야! 예술가 기질이 많네!”
(누구나 돌아서면 고독하지. 기질만 있다고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
아침부터 소주를 큰 잔에 따라 마시는 걸 보니 알콜 중독인가?
물층지 일대에 수만 평의 논밭과 임야를 갖고 있다는 그 남자.
그러나 무엇에 쓰랴. 사람들이 떠나버린 그 땅을.
5대째 마을에 살아 온 그 남자는 왜 혼자 폐허에 남게 되었을까.
일에 파묻혀 술에 찌들어 그의 몰골은 미치광이 같다.
커다란 화살나무가 서 있는 흙 마당의 괴목으로 만든 테이블은
그 남자의 기이한 몰골과 어쩌면 그리 닮았는지.
물층지 계곡 깊숙한 땅에 파라다이스를 이루고 싶어 하는 남자.
신념은 거룩하지만 현실이 너무 남루한 것 같아 가슴 아프다.
계곡 깊숙이, 폭포가 있을 것 같지 않은 곳에 폭포가 있었다.
높이 4~5미터 정도, 두 갈래 물줄기가 암반을 타고 내려온다.
그 아래 아담한 소(沼)가 푸른 물을 담고 있다.
그 남자는 여기 와서 기도를 드리기도 하나보다. 촛농과 과일 몇 개.
폭포 상류는 푸른 저수지. 지도상에 ‘어물동소류지’ 혹은 '물청천소류지'로
표기된 걸로 봐서 어물리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문득 스치는 영감처럼 3년 전의 기억 한 토막이 번쩍 살아났다.
마골산 참샘에서 이 저수지로 내려왔다가 원점회귀했었는데...
<2월13일>
3년전의 기억을 좇아 길을 나선다.
마골산 정상에서 참샘 가는 길은 군부대를 돌아 절반은 임도, 나머지는 토끼길.
언젠가 여름에 저수지로 내려가는 길을 찾다가 숲이 우거져 돌아갔었지.
그해 길을 놓친 지점에서 또 헤매다가 마침내 실낱같은 길을 발견했다.
가파른 내리막 끝에 만난 협곡은 태풍이 지나간 자리처럼 어수선하다.
무너진 절개지와 큰물에 휩쓸려 내려온 나무들이 계곡을 가로막고 있다.
돌멩이를 밟고 때로는 나무를 타 넘으며 계곡 탐사 1시간여.
어느 순간 눈 앞이 탁 트이면서 저수지가 나타났다. 제대로 찾아왔구나!
수면은 빙판처럼 깨끗하고 고요하다. 바람 한점 없는 이 적막-
저수지 사면을 타고 제방 둑길을 건너 어물리로 내려가는 길과 만난다.
이제 막 봉오리를 내민 오리나무 새순들이 사랑스럽다.
어물리 일대 농업용수로 쓰이는 저수지의 큰 물줄기는 두 가닥.
요즘 같은 가뭄에도 만수위를 유지하는 게 신기하게 느껴진다.
물줄기 하나를 타고 내려왔으니 돌아갈 땐 나머지 물줄기를 타보자.
저수지 오른쪽을 끼고 가파른 사면을 기어올라 다시 계곡으로 접어든다.
다래 넝쿨이 휘늘어지고 고사목이 쓰러져 있는 길.
먼저 내려온 계곡은 을씨년스러웠지만 올라가는 길은 아름답다.
<역광이라 사진이 어둡다-어물동 소류지>
‘낮은 산이 낫다’는 책을 쓴 남난희가 생각난다.
"언제부터인가 나의 삶은 아무것도 가지고 싶은 것이 없고,
아무것도 바라는 것이 없고, 아무것도 기다리지 않고, 아무것도 궁금하지 않다.
또 어느 곳에도 가고 싶지 않고, 만나고 싶은 사람도 없게 되었다.
물기가 다 빠진 풀처럼 가벼운 마음이다... 참 좋다."
삶의 질곡을 빠져나와 낮은 산 밑에 깃들어 살며
산을 버려서 산을 얻게 되었다는 그녀의 말에 깊이 공감한다.
내려온 길이 협곡이었다면 올라가는 길은 툭 트인 편이다.
끝도 없이 이어질 것만 같은 계곡을 1시간쯤 치고 오르자 ‘약사암’이 나타났다.
늙은 보살에게 물으니 마을 이름이 ‘산두골’이란다.
드문드문 보이는 폐가 외에 사람 사는 집이라곤 몇 채 없다.
산두골 대밭을 지나 아침에 길을 찾아 헤매던 지점까지 원점회귀.
어물동소류지를 이루는 두 줄기의 계곡을 완전히 탐사한 꼴이다.
들머리에서 날머리까지 6시간 넘는 무장공비 산행,
그러나 작은 성취감으로 돌아오는 발걸음이 가볍다.
마골산 정상에서 바라보는 방어진 일대의 전경이 평화롭기만 하다.
“오래된 나무를 보면 존경스럽다.
그렇게 오랜 세월을 보내면서도 어찌 저렇게 당당하고 편해보일 수 있는지.
어쩌면 한 자리에서 저리도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는지.
얼마나 자신을 비운 삶이기에 저렇게 넉넉할 수 있는지.
그래서 그들이 부러운 것이다. 그들을 닮고 싶은 것이다.“
<남난희 ‘낮은 산이 낫다’중에서>
<2월11일 산두골에서 찍은 복수초 >
<봄비에 환호하는 염포산, 베란다에서 줌렌즈로>